질병 감염 여부를 알려주는 음성과 양성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 다뤄보겠습니다. 질병검사, 항체검사, 종양 구별할 때 병의 감염 여부, 질병 여부, 종양 여부 등을 알려줄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양성과 음성의 의미
양성
질병의 감염 여부를 알기 위해 병원체를 검사한 후 결과가 정해진 일정수치를 넘은 경우 또는 이상을 나타낼 때를 양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병원체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해당 질병에 걸렸다는 걸 의미한다. 그런데, 백신을 위해 항체검사를 할 때는 항체가 있는 경우를 양성이라고 한다.
즉, 항체 검사 시 결과가 양성이라면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걸 의미하기에 굳이 예방접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이렇게 보면 양성은 무언가를 지니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위암여부를 알아보는 조직검사에서는 건강하면 양성이고, 위암이 위심되면 그 반대말 악성이라고 한다. 종양 검사의 경우 음성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종양은 양성과 악성으로 구분한다.
음성
질병 검사 시 병원체의 일정수치가 이하이거나 반응이 없는 것을 음성이라고 한다. 병원체 검사에서 음성반응이 나오면 해당 질병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질병 항체 검사에서 음성반응이 나왔다면 내 몸에 항체가 없다는 말이 되는 백신을 맞아야 한다는 걸 의미한다.
간단히 생각하면 임신테스트를 할 때, 임신이라면 양성이고 아니라면 음성반응이 나오게 된다. 이때 양성이 의미하는 것은 Positive finding이고, 음성은 Negative finding이다. 이는 뭔가의 대상 유무를 판별할 때 있고 없고의 차이이다. 다만, 종양 검사에서는 음성이 아닌 양성과 악성을 사용한다. 종양이 아닌 혹으로 판명 난다면 양성이라 하고, 암이라면 악성종양이라고 한다.
구분 | 질병검사 | 항체검사 |
양성 | 질병이 있음 | 항체가 있다. 백신은 필요없다. |
음성 | 질병이 없음 | 항체가 없다. 예방접종이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