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사소송에서 패소했을 때 상대방 변호사 비용을 전부 부담해야 할까

%@#$@ 2023. 7. 19.

민사소송에서 패소했을 때 반드시 내가 상대방 변호사 비용을 전부 부담해야 할까? 소송목적의 값에 비례하여 산정되는 변호사 비용의 산정방법과 예시를 설명하고, 상대방이 고용한 변호사의 실제 보수액과의 관련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민사소송에서 패소했을 때 전부 상대방 변호사 비용을 전부 부담해야 할까

민사소송에서 패소했을 때 상대 변호사 비용을 전부 부담해야 할까

민사소송에서 패소한 경우 상대방의 변호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민사소송비용법 제3조 제1항에 따라 정해진 법률입니다. 이 법률의 목적은 소송을 남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송에 응한 사람의 권리 구제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상대방이 고용한 변호사의 실제 보수액을 전부 지불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대법원 규칙에 따라 소송목적의 값에 비례하여 산정된 금액만을 부담하게 됩니다[각주:1].이는 소송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위한 장치입니다.

 

 

민사소송에서 패소자가 부담할 변호사 비용의 산정방법과 예시

민사소송에서 패소자가 부담할 변호사 비용은 대법원 규칙 제8조 제1항[각주:2]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2,000만원까지 부분: 10% x 2,000만원 = 200만원
  • 2,000만원을 초과하여 5,000만원까지 부분: 8% x (5,000만원 - 2,000만원) = 240만원
  • 5,000만원을 초과하여 1억원까지 부분: 6% x (1억원 - 5,000만원) = 300만원
  • 1억원을 초과하여 5억원까지 부분: 4% x (5억원 - 1억원) = 1,600만원
  • 5억원을 초과하여 10억원까지 부분: 3% x (10억원 - 5억원) = 1,500만원
  • 10억원을 초과하는 부분: 2% x (10억원 초과액)

여기서 소송목적의 값이란 소송의 내용에 따라 산정되는 금액으로, 예를 들어 손해배상청구소송이라면 청구액, 재산분할소송이라면 분할할 재산의 가액, 부동산등기소송이라면 부동산의 가액 등이 됩니다.

이렇게 산정된 변호사 비용은 패소자가 상대방에게 지불해야 하는 소송비용의 일부로, 판결문에 명시되거나 소송비용 확정신청을 통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소송목적의 값이 1억원인 경우, 패소자가 부담할 변호사 비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2,000만원까지 부분: 10% x 2,000만원 = 200만원
  • 2,000만원을 초과하여 5,000만원까지 부분: 8% x (5,000만원 - 2,000만원) = 240만원
  • 5,000만원을 초과하여 1억원까지 부분: 6% x (1억원 - 5,000만원) = 300만원
  • 총합: 200만원 + 240만원 + 300만원 = 740만원

따라서 패소자는 상대방의 변호사에게 740만원을 지불해야 합니다. 만약 상대방이 대형로펌의 변호사를 고용했다고 해도, 이 금액은 변하지 않습니다.

즉, 상대방이 고용한 변호사의 실제 보수액과 패소자가 부담할 변호사 비용은 관련이 없습니다.

 

 

결론과 조언

민사소송에서 패소자가 부담할 변호사 비용은 소송목적의 값에 비례하여 산정되며, 이는 소송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위한 장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패소자가 부담할 소송비용은 변호사 비용 외에도 소송수수료, 인지세, 증명서 발급비 등이 있으므로, 소송을 제기하거나 응하려는 경우에는 반드시 법률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소송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법률구조제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통해 민사소송에 관련된 법률지식을 습득하고, 소송비용에 대한 의문을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고소나 고발을 당해서 경찰서를 가야할 때 대처방법

고소를 당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소 사유와 혐의를 확인하는 방법, 수사관의 조사에 협조하는 방법, 공소시효나 혐의없음처분에 대한 정보 등을 자세하게 설명하겠

write-keyboard.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