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연 4.5% 금리에 이자소득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과 청약 당첨 시 분양대금의 80%까지 2% 대 낮은 금리대출지원!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조건 및 방법, 혜택, 전환방법까지! 지금 바로 확인하고 내 집 마련 준비하세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전 꼭 알아야 할 것들
주택가격상승과 높은 주택담보 대출금리로 인해 청년들의 주택마련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청년들의 주택구입을 돕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24년 2월 21일에 출시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입니다.
청약통장이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주택마련을 꿈꾸는 청년들을 위한 정부지원 저축상품입니다. 매월 일정금액을 납입하면 일정기간 후 주택 청약권을 얻을 수 있으며, 청약권을 이용하여 주택 추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당첨되면 주택구입자금을 융자받을 수 있으며, 융자금리 및 상환기간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주택드림대출조건
- 1세대 1 주택자가 아니더라도 최대 5억 원 대출가능(단, 소득조건충족해야 함)
- 직전연도연소득 7천만 원 이하
- 전년도무주택확인서제출
- 신청당시주택보유금지
- 주택청약종합저축납입기간 3년 이상
가입상담 및 문의절차
- 가입신청은 기금 취급은행에 방문하여 가입하거나, 인터넷 또는 모바일뱅킹으로 가능
- 자세한 상담이 필요한 경우 주택도시기금포털을 방문하거나 주택청약 종합저축 취급은행 등에 문의
- 주택도시기금포털(https://nhuf.molit.go.kr/)
- 국토교통부콜센터(☎1599-0001)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콜센터(☎1566-9009)
최대 연 4.5% 금리에 이자소득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까지, 청약 당첨 시 분양대금의 80%까지 2%
www.molit.go.kr
은행별 정책 비교
은행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납입 금액 상한 | 150만원 | 150만원 | 100만원 |
이자율 | 2.95% | 3.05% | 3.15% |
소득공제 | 40% | 40% | 40% |
비과세 | 4000만원 | 4000만원 | 4000만원 |
자동 전환 | 가능 | 불가능 | 가능 |
주택청약대출 한도 | 5억원 | 5억원 | 5.5억원 |
기존청년우대형 청약통장과 차이점
구분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 기존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
납입 금액 | 2만원 ~ 100만원 (자유 납입) | 4만원 ~ 100만원 (자유 납입) |
납입 기간 | 18개월 ~ 60개월 | 18개월 ~ 60개월 |
이자율 | 1.56% (2024년 3월 기준) | 0.45% (2024년 3월 기준) |
비과세 한도 | 연간 330만원 | 연간 200만원 |
전체 당첨 확률 | 약 2.5% (2022년 기준) | 약 1.5% (2022년 기준) |
주택 가격 | 9억원 이하 | 9억원 이하 |
※참고: 이자율, 비과세 한도, 전체 당첨 확률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전환방법: 직접방문 vs 자동전환
- 2024년 12월 31일까지 기존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이자동으로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으로 전환예정(단, 본인이 거절신청 시 자동전환불가)
- 자동전환시기존청약혜택은 유지됩니다.
- 예시:자동전환시기존청약납입기간, 납입금액, 당첨순번등 모든 혜택유지
- 참고:자동전환 후에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의 혜택적용됩니다.
해지 후 재개설 시 기존 가입기간 인정 여부
- 해지 후 1년이 내에 재개설시기존가입기간의 50% 인정(단, 납입금액 100만 원 이상인 경우)
- 예외: 청약금 전액 인출 후 재개설 시 기존 가입기간 인정불가
- 참고: 재개설 시 납입기간은 18개월 이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청년들이 주택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는 좋은 상품입니다. 하지만 가입조건, 은행별 정책, 전환방법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청약 후에도 꾸준히 납입하여 당첨확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업날개서비스,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면접용 정장 무료대여 프로그램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취업날개서비스는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을 위해 면접용 정장을 무료로 대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취업날개서비스의 신청자격, 신청방법, 장점, 제공업체 등에 대
write-keyboar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