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어떻게 인간과 함께 살게 되었을까?
개는 인간에게 이로운 동물이다. 사냥, 구조활동, 폭발물 또는 위험물 탐지, 경찰견, 맹인견 그리고 우리 친구 등 많은 분야에서 인간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이로운 동물인 개는 과연 늑대에서 기원되었는지, 어떻게 인간에게 길들여졌는지 간단히 다뤄보겠다.
개는 어떻게 인간과 살게 되었나
개의 기원
개의 기원에 대해 여러 의견이 분분하고, 많은 학자들이 여러 방면으로 연구를 해오고 있다. 누군가는 개는 늑대로부터 시작됐다고 하고, 누군가는 인류가 농경을 위해 만년 전쯤에 늑대를 길들였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대략적으로 일만여 년 전 이후로 개가 가축화되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농경을 위한 개의 가축화
1. 1978년 고고학자 사이먼 데이비스는 이스라엘에서 무덤에서 인간과 개의 뼈를 발굴했다. 그는 발굴한 뼈의 연대 추정을 했는데, 그 결과 발굴된 뼈 주인들은 12000년 전 존재로 밝혀졌다.
2. 2011년 인류학자 로버트는 러시아 중부에서 9000년 전쯤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 무덤에서 인간과 개의 유골을 발견했다. 특히 숟가락과 개 뼈에서 상처가 인위적으로 치료된 흔적에서 개가 가축화됐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3. 2011년 니콜라이 박사가 러시아 시베리아 알타이 산맥에서 오래된 개의 화석을 발굴했다. 그 화석은 동위원소 분석 결과 대략 33000년 전으로 밝혀졌다.
4. 2017년 로라 박사는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통해 신석기시대 개 화석의 돌연변이율을 분석해 냈다. 결과는 20000-40000년 전으로 밝혀졌다.
<개는 늑대로부터 기원됐다>
개와 늑대는 0.04% 유전적 차이날뿐이다. 그리고 서로 교배도 가능할 뿐 아니라 이들 후손은 생식능력 역시 지니고 있다. 때문에 늑대와 개는 거의 같은 종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들은 생김새, 습성 등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거대하고 야생본능이 살아있는 늑대에 비해 개는 크기가 작고, 털, 턱 등 생김새가 좀 더 인간 친화적으로 진화했다. 그리고 야생본능 즉 경계 감각영역이 축소됐다. 그리고 현재 개와 달리 녹말, 올리고당 분해 효소 dna와 포도당 흡수를 도와주는 dna 활성이 높다. 이것은 그 당시 인간과 개가 음식을 공유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 당시 인간의 먹을거리는 곡물이었는데, 원래 육식인 늑대에게서 갈라져 나온 개는 인간과 함께 생활하면서 개의 유전자가 변화한 것이다. 즉 녹말이 풍부한 음식에 적응하도록 dna가 변화한 것을 알려준다.
개의 가축화 과정
개가 인간과 같이 살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어렵지 않다. 인간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목축을 하며 유목생활을 하는 이들에겐 길잡이 겸 파수꾼 역할을, 또는 야생동물이 집 근처로 다가오는 걸 알리는 경계병 역할을 그리고 고기와 가죽, 털을 제공하는 등 많은 도움을 인간에게 주었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공통점이 있다. 인간과 개(늑대)는 무리 즉, 집단을 이루고, 잡식을 하는 동물이다. 그럼 어떻게 늑대(개)는 인간과 함께 살게 되었을까?
<피노키오 가설>
약 4만 년 전 인간들이 늑대를 사냥하던 도중 새끼 늑대를 데려다가 길들였다는 가설이다. 새끼 늑대들 중 인간에게 위협적인 개체는 죽어서 식량이나 가죽이 되었고, 인간에게 친화적인 개체는 살아남아 가축이 되었다는 내용이다. 즉, 인간이 인위적으로 야생 늑대를 데려다 길들였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늑대는 생후 20일만 지나면 사회화가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로 인해 이 가설은 많은 반박을 받았다.
<쓰레기 더미 가설>
늑대가 인간이 남긴 음식물을 먹기 위해 인간을 쫓아다니다 결국 사람에게 길들여졌다는 가설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