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잘못 알려진 건강속설(상식)

%@#$@ 2022. 8. 25.

우리가 잘못 알려져 있는 건강상식들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물의 하루 적정 섭취량이나 유산균의 효용성, 치아 건강 등에 대해 사람들이 상식처럼 알고 있던 사실들이 결국엔 잘못된 정보였습니다.

 

잘못 알려진 건강상식

1. 물은 하루 2L 이상씩 되도록이면 많이 마실수록 좋다.

우리는 티브나 주변 지인에게 물은 많이 마실수록, 하루에 2L 이상 마시면 피부나 신체 신진대사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소리를 들어왔다. 우리는 학교에서 인간의 신체는 70% 이상이 수분(혈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건강을 위해선 적정량의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고 배웠다. 그래서 우리는 물은 많이 마실수록 좋구나라고 당연하게 여겨왔다. 하지만 우리는 물만으로 수분을 섭취하는 게 아니기에 반드시 물을 7잔 이상 억지로 마셔야 하는 건 아니다.

 

하루 세끼 식사를 통해, 즉 음식 섭취를 통해 수분을 보충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수분을 섭취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물은 억지로 또는 습관적으로 마실 필요 없이 갈증을 느낄 때 적정한 량을 마셔주면 충분하다. 만약 화장실에서 소변 색이 노랗다면 신체에 수분이 부족한 상태니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게 좋다.

 

2. 기침, 몸살 감기에는 주사를 맞는 게 직방이다.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심한 감기, 몸살에 걸렸을 때 엄마에게 이끌려 병원 소아과에 가서 주사와 약을 처방을 받았었다. 때문에 우리는 감기에 걸렸을 땐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는 게 가장 빨리 감기를 떨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주사는 약으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 첨단 공포증이나 주삿바늘을 무서워하는 사람들은 굳이 주사를 맞을 필요가 없다.

 

우리는 심리적으로 약보다는 주사가 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며, 주사를 맞으면 더 빨리 나을 거라는 심리적 안정감을 얻는다. 마치 플라세보 효과(위약효과)처럼. 물론 실제로 감기를 완화해주기는 하지만 감기를 이겨는 건 우리의 면역력이다.

 

3. 유산균 음료(요구르트)는 장건강에 좋다.

식당에서 밥을 먹고 난 후 습관적으로 먹는 음료인 유산균 음료 요구르트는 과연 우리 장을 건강하게 해 줄까? 실제로는 우리의 입만 즐겁게 할 뿐 요구르트의 유산균은 장에 도달하기도 전에 소장에서 죽는다. 때문에 유산균 음료는 장 건강에 효과가 없다. 그러니 입가심으로 마시는 요구르트에 너무 많은 기대를 하지는 말기 바란다.

 

4. 매운걸 먹기 전에 우유를 먹어야 한다.

종종 보는 유튜브 영상에서 매운 짬뽕을 먹는 사람들에게 식당 주인이 우유가 없으면 음식을 팔지 않겠다고 하는 장면을 본 적이 있다. 아주 매운 음식으로부터 장을 보호하는 데는 우유가 최고라고 하면서. 그리고 음주 전에 우유를 마시면 장이 상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데 과연 사실일까? 어느 정도 일리는 있지만 완전한 사실은 아니다.

 

우유는 장에서 분비되는 산을 중화시키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속이 쓰린 현상을 완화해 주기는 한다. 하지만 장은 우유의 단백질을 분해하기 위해 더 많은 위산을 분비하게 되어 장 건강에 더 악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때문에 속 쓰림에 우유를 마시면 일시적으로 완화되는 것처럼 느끼겠지만 실제로는 더 악화될 수 있다. 속 쓰림은 우리가 먹는 맵고 짠 음식과 술, 담배로 인해 위에 궤양이 생겨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우유로 일시적으로 위안을 얻기보단 속 쓰림을 자주 느낀다면 식생활을 개선해보길 바란다.

 

5. 불끄고 티브이를 보면 눈이 나빠진다.

어둑한 방에서 책을 보거나 티브이를 보면 눈이 나빠진다는 속설이 있다. 하지만 어두운 환경과 시력은 서로 연관은 없다고 안과 전문의들은 말하고 있다. 예전 호롱불, 촛불에 의지해 생활한 사람들 모두가 시력이 나빠졌다면 이해가 되지만 오히려 밝은 전등 아래 사는 현대인들의 시력이 오히려 좋지 않다. 어두운 곳에서 생활하다 보면 눈이 피로해질 수는 있겠지만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치는 게 아니니 오해하지 말길 바란다.

 

6. 매운 음식은 고혈압을 더 악화시킨다.

고혈압 환자가 피해야 할 음식은 매운 음식보단 달고 짠 자극적인 음식이나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피해야 한다. 달고 짠, 그리고 기름기가 많은 열량이 높은 음식은 몸속 중성지방을 쌓이게 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인다. 그러니 가급적 고혈압 환자는 자극적이고 느끼한 기름진 음식은 피하는 게 좋다. 하지만 매운 음식은 혈압과 직접적 관련이 없다고 한다. 매운 음식도 자극적인 음식이지만 그다지 관련성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위 건강을 위해 가급적 매운 음식 섭취를 줄이는 걸 추천합니다.

 

2022.08.21 - [건강] - 수면 부족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수면 부족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비정상적으로 불규칙하게 수면을 하게 되면 기억, 기분, 반응속도가 저하되고 환각마저 보게 됩니다. 만약 잠을 안 자게 되면 인간 신체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다뤄보겠습니다. 수면부족 시

write-keyboard.tistory.com

2022.05.03 - [건강] - 미세먼지 대처하는 방법

 

미세먼지 대처하는 방법

미세먼지는 여러 성분이 섞인 부유물질이다. 미세먼지 대부분은 자동차 배기가스, 자동차가 도로 주행이나 공회전으로 발생하는 먼지들이다. 우리가 미세먼지를 기피하는 이유는 탄소, 질산염

write-keyboard.tistory.com

2022.04.30 - [건강] - 결막모반(눈 속의 점) 원인 및 예방법

 

결막모반(눈 속의 점) 원인 및 예방법

눈 속에 피부에 생기는 점처럼 검은색이나 갈색 반점이 생기는 경우를 결막모반이라 한다. 자신 눈에서 또는 다른 사람 눈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보통 자신도 모르고 지내다가 친구, 가족이

write-keyboard.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