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아끼는 법과 절약하는 방법으로 돈 돌려받는 캐쉬백 소개

%@#$@ 2023. 5. 17.

전기료가 인상되면서 가정에서 전기를 아끼는 법과 절약법이 필요해졌습니다. 밥솥과 비데 등의 발열 가전제품들에 대한 절약법과 전기를 아껴 쓰면 현금으로 돌려받는 제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전기-절약

 

전기 아끼는 법과 절약법으로 돈 버는 방법

전기를 아끼는 법과 절약하는 법은 비슷한 의미 이긴 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전기를 아끼는 법은 전기를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말하고, 전기를 절약하는 법전기를 적게 사용하 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밥솥의 보온기능을 최소화하는 것은 전기를 아끼는 법이고, 전기밥솥을 사용하지 않고 보온밥솥을 사용하는 것은 전기를 절약하는 법입니다.

 

밥솥과 비데 등의 전력 소모량에 놀라지 마세요. 쉽고 간단한 절약법과 현금 돌려받는 제도를 알려드립니다.

 

가정에서 가장 많은 전기를 소모하는 가전제품은?

가정에서 전기를 아끼는 법과 절약법을 알려드리기 전에,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가전제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밥솥, 냉장고, 식기세척기 그리고 에어컨 중에서 어떤 제품이 실제로 집에서 전력을 가장 많이 소모할 것 같나요?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에어컨일 겁니다. 1년 내내 에어컨을 쓴다고 하면 아마 그럴 겁니다.

 

에어컨

 

그런데 일 년 내내 여름이 아니니 그렇게는 안되죠. 실제로 가정에서 1년 내내 전력을 가장 많이 소모하는 제품은 의외로 가장 부피가 작은 밥솥입니다. 냉장고도 밥솥의 반 정도밖에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왜 그럴까요?

 

전기밥솥 전기 절약하는 법 : 보온기능 최소화

왜 전기 밥솥이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지 의아할 겁니다. 그 이유는 밥솥이 보온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대다수 분들이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전제품의 실제 소모전력을 조사해 봤더니, 밥솥을 평균적으로 하루에 9시간 정도를 가동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791 킬로와트시 정도 전력을 소모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밥솥의 코드를 꽂은 상태 즉, 보온상태로 밥솥을 사용하잖아요. 그렇다면 거의 하루종일 즉, 24시간, 365일 내내 틀어놓는 냉장고의 2 배가 넘는 전력을 1년 동안 쓰는 겁니다. 에어컨은 순간 전력이 많지만 연간 8,500분 정도, 1년에 141시간이나 142시간 정도를 쓰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를 토대로 에어컨의 연간 333킬로와트시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에어컨은 거의 여름철 2달, 길어야 3달정도 즉, 일 년 내내 사용하는 가전제품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한 달에 100~150킬로 와트시씩 집중적으로 에어컨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료 누진제가 적용됩니다. 즉 여름철 한 달 동안 450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사용한다면, 부과되기 시작하는 기초요금의 3배 정도요금이 부과됩니다. 이게 에어컨의 실체입니다. 그러니 덥다고 무작정 에어컨을 사용하면 무시무시한 전기료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전기를 아끼는 법과 절약하는 법

이제 가정에서 전기를 아끼는 법과 절약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절약법은 실생활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쉬어야 합니다. 전기를 많이 잡아먹는 가전제품은 대부분 열을 발산하는 가전제품들입니다. 어떤 가전이 되었든지 간에 발열가전들이 전력을 제일 많이 소모하기 때문입니다. 발열가전이라 하면 위에서 언급한 밥솥을 떠올리면 됩니다.

 

밥솥이 전기료를 많이 소모하는 이유

밥솥이 전기료 하마인 이유는 뭘까요? 밥을 하는 분 대부분이 아마도 쌀을 씻어 바로 밥솥의 취사를 누르지는 않을 겁니다. 예전부터 가정에서 엄마가 쌀을 불려서 밥을 하는 걸 봤기 때문에, 취사버튼을 바로 누르지 않고 쌀을 불리기 위해 밥솥의 코드를 꽂은 상태로 준비를 해놓습니다.

 

전기밥솥

 

이 때문에 전기료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사실 전기료 때문만이 아니라 자신도 모르게 배운 밥 짓는 방법이 전기료 상승의 이유입니다. 저는 이 이유를 알고 쌀을 씻어 냉장고에 넣어두고 밥 지을 시간에 밥통에 넣어 취사버튼을 누릅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전기료가 확 줄어드는 체감을 하지 않았지만, 확실히 전기료가 감소하기는 했습니다.

 

 

밥솥을 우리가 하루평균 9시간 정도씩 틀어놓는데 한 시간 동안만 취사를 위해 사용하고, 8시간의 보온기능을 쓰지 않으면 하루에 1킬로와트시정도는 절약됩니다. 한 달이면 30 킬로와트시입니다. 4인가족의 한 달 평균전력소모량, 즉 연간전기를 많이 쓰는 달과 적게 쓰는 달을 더 해서 평균을 냈을 때 올해 기준으로 4인가족이 한 달에 332 킬로와트시 정도 쓴다는 게 정부추산입니다.

 

그러니까 한 달에 30킬로와 트시면 10분의 1, 11분의 1 정도 됩니다. 적은 전력량이 결코 아닙니다. 여름에는 누진제 최고 등급요금을 피하느냐, 마느냐가 여기서 결정될 수 있으니 이제부터라도 밥통의 코드를 빼시길 바랍니다. 남은 밥은 냉장보관보다는 냉동 보관을 추천합니다. 즉석밥을 전자레인지로 뎁혀 먹듯이 냉동된 밥을 해동시켜 먹으면 밥통에 오랫동안 보온한 밥보다 훨씬 맛있습니다.

 

비데 절약법 절전기능 활용하기

비데 절약법은 비데가 하루에 평균 2시간 정도 쓰이고, 연간 73킬로 와트시의 전력을 소모한다고 합니다. 이것도 적은 양이 아니니까 절전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비데는 전력소모가 적을 거라 생각하지만, 물을 데우는 기능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절전기능한 번 눌러놓지 않으면 은근히 많은 양의 전기가 소모됩니다.

 

 

집에서는 온열시트기능 대신 변기커버시트를 사용하고, 물 온도도 약간 낮춰고, 절전기능을 활용하면 연간 20킬로 와트시정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발열가전제품 절약법 : 대기전력 차단

밥솥과 비데 외에도 다른 발열가전제품들에 대한 절약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드라이기나 다리미 등의 제품들도 열을 내는 가전제품이므로 전력을 많이 소모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제품들은 사용 후에 콘센트를 빼거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멀티탭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연간 10~20킬로 와트시정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전기를 아끼면 현금으로 돌려받는 에너지캐시백 제도

마지막으로 전기를 아껴 쓰면 현금으로 돌려받는 제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한전에너지캐시백제도

 

이 제도는 한전 에너지마켓플레이스나 에너지 캐시백이라는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은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혜택의 조건은 과거의 전기사용이력을 비교할 때 5% 이상 절약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올 연말까지는 킬로와트시 당 최대 100원까지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제도의 장점은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배출량을 줄여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도를 통해 지난해에는 1만 7천여 가구가 전기료를 평균 2만 6천 원 정도절약했으며, 총 4억 5천만 원의 현금을 돌려받았습니다. 또한 탄소배출량은 2천7백여 톤 줄였습니다.

 

이상 전기 절약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여러분도 전기를 아껴서 환경과 지갑에 좋은 일을 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고장 난 냉장고 무료로 버리는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탄소 (중립) 포인트 제도, 무엇이고 어떻게 하나요?

에어컨 전기세를 아끼는 방법

에너지 바우처 신청대상자, 신청방법

한국 1인당 전기 사용량 OECD 3위 진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