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곱미터(㎡)를 평수로 바꾸는 간단한 방법
방을 구하러 돌아다닐때 ㎡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낯선 측량단위를 어떻게 가늠해야 할 지 힘들어 한다. 지금도 간혹 평수로 방크기를 적어놓기는 하지만, 이렇게 평수로 방크기를 표시하는 건 지난2007년 부터 불법이기에 대부분은 ㎡로 표시해 놓는다. 그럼 ㎡를 어떻게 계산하면 대략적으로 평수를 추측할 수 있는지 간략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를 평수로 바꾸는 방법
지난 2007년 부터 산업자원부는 제곱미터(㎡), 킬로그램(kg) 등 법정 계량단위 대신 평(坪), 근(斤) 등으로 사용하는 걸 금지하고 하고 있다. 이유는 이런 측정단위를 사용하는 나라는 전세계적으로 일본과 우리나라 뿐인데,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 시절 강제로 도입된 단위다.
그래서 2007년부터 부동산 평수를 나타낼 땐 평수 대신 ㎡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제곱미터를 평수로 가늠해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당연히 오랫동안 사용해온 관념을 바꾸긴 어렵기 때문이다.
1. 제곱미터에 있는 뒷자리는 제외하고, 첫자리에 3을 곱한다.
60㎡라면 뒷자리 0을 빼고, 앞자리6에 3을 곱하면 대략적인 평수를 예측할 수 있다. 18평으로 예측된다.1평이 3.30579㎡이기 때문에 정확히 계산하면 18.14...평이 된다.
2. 제곱미터에 있는 뒷자리가 5보다 크다면 앞자리로 반올림해서 3을 곱하면 된다.
69㎡라면 뒷자리가 5보다 크기 때문에 앞자리에 반올림하면, 앞자리는 7이 된다. 여기에 3을 곱하면 21평이 된다. 정확히 계산하면 20.87...평이 된다. 거의 같다.
만약 자신이 아직 제곱미터에 익숙하지 않다면, 이렇게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바뀐 법이니 제곱미터의 크기에 익숙해 지길 추천한다.
월급 70% 이상 받아야 해! 휴업수당 지급 기준과 지급 대상
근로자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휴업수당 제도 - 지급 대상, 기준, 도급 업체 근로자의 경우, 최저임금 비교 월급 70% 이상 받아야 해! 휴업수당 지급 기준과 지급 대상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write-keyboard.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