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 알면 돈 버는 비법

%@#$@ 2023. 5. 24.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는 정부가 시행하는 중소기업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하면 청년근로자들은 소득세부담을 줄일 수 있고, 중소기업은 인력확보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글에서는 이 제도의 지원 대상, 감면기간과 비율,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중소기업-청년소득세-감면제도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 알면 돈 버는 비법!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란?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제도란, 특정업종에 속하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 만 60 세이상의고령자, 경력단절여성,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취업이 후 3-5년 동안 연 200만 원의 한도로 소득세의 70-90%를 감면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청년근로자들의 근로소득세부담을 줄여주고,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입니다.

 

 

소득세 감면 제도의 목적은?

중소기업 청년소득세감면제도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년근로자들의 근로소득세부담을 줄여 소득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에 청년인력을 유치하고, 안정적인 고용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청년고용률을 높이고 고령자, 경력단절여성, 장애인 등 취업이 어려운 계층의 고용창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은?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제도의 지원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대상신청-제한대상

 

  • 근로계약 체결일 현재 15~34세이며, 병역을 이행한 경우 그 기간을 차감한 연령이 34세 이하인 자
  • 중소기업에 2012년 1월 1일 이후 취업한 자
  • 특정업종에 속하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자
  • 임원, 최대주주, 최대출자자와 그 배우자 및 직계비존속, 일용근로자, 건강보험료 납부이력이 없는 자는 제외됩니다.
 

 

감면 기간과 비율은?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의 감면기간과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취업일로부터 3~5년간 적용. 최초 취업일 이후 소득세 감면혜택 받지 않은 공백기간도 포함됩니다.
  • 소득세의 70~90%를 감면, 연간 200만 원 한도. 근로소득세액공제는 감면비율만큼 차감하고 적용됩니다.

 

신청 방법은?

중소기업청년소득세감면제도의 신청방법은 원천징수의무자인 사업자가 홈택스에서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연말정산 이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방법

 

신청절차

  1.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공동인증서 로그인을 합니다.
  2. 신청/제출 → 과세자료제출 →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감면 명세서에 들어갑니다.
  3. 제출방식 선택 → [직접 작성 제출방식]을 클릭합니다.
  4. [01. 기본정보 입력] → 사업장 기본정보입력 → [저장 후 다음 이동]을 눌러주세요.
  5. [02. 상세내역 입력] → 감면적용 대상자 정보입력 → [등록하기] → [과세자료 작성완료]를 클릭합니다. 여성 또는 산업기능요원 등 병역을 이행한 자가 아닌 경우, 병역근무기간 미선택 또는 0으로 선택하세요.
  6. [03. 과제자료제출] → 최종확인 후 → [제출하기]를 선택하면 신청완료됩니다.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는 청년근로자들에게 큰 혜택을 줍니다. 취업일로부터 3-5년 간 소득세의 70-90%를 감면받을 수 있으며, 연간 200만 원의 한도가 있습니다.

 

신청방법은 간단합니다. 원천징수의무자인사 업자가 홈택스에서 직접 신청하면 됩니다.

 

※사진 출처 : 중소기업 다니면 꼭 챙기세요! ‘청년소득세감면제도’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신용회복 특별지원 프로그램 안내: 채무 감면, 상환 유예, 신용회복까지!

신용이 악화되어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신용회복 특별지원 프로그램으로 채무 감면, 상환 유예, 신용회복 등 맞춤형 지원을 받으세요! 신용회복 특별지원 프로그램 안내: 채무 감면, 상환 유

write-keyboard.tistory.com

 

댓글